요즘은 주위에서 보기 힘들지만 접시꽃은 골목 여기저기 대문옆 화단에서 많이 보게 되는 식물입니다.1986년 도종환시인의 '접시꽃 당신'으로 지고지순 애절한 사랑의 꽃으로 인식되었습니다.접시꽃이 처음 문헌에 나온 것은 신라시대 최치원이 쓴 책에서라고 합니다.아주 오래전부터 우리 조상들의 집앞과 골목길에 함께 했던 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목 차1. 생태와 꽃말2. 약용 효능3. 꽃차 만들기접시꽃의 생태와 꽃말 여름철 시골 담장이나 길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다년생 식물로 줄기가 곧게 뻗어 2m 가까이 자랍니다.연분홍, 붉은색, 자주색, 흰색 등 다양한 색의 꽃을 피워한 무리가 모여있어도 알록달록 화사합니다.꽃이 줄기 위쪽으로 차례차례 피어 올라 여름 내내 이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옛날에는 집..
여름에 맛있는 양념으로 무친 꽈리고추찜은 입맛이 없을 때 밥과 함께 먹으면 도망간 입맛도 돌아오게 만드는 마법의 반찬입니다.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고추 중 반찬으로 가장 자주 활용되는 것이 바로 꽈리고추입니다.오늘은 꽈리고추에 대해 알아보고간단하고 맛있는 꽈리고추찜 만드는 법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목 차1. 고추의 종류2. 영양3. 꽈리고추찜 만들기 고추의 다양한 종류 품종과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크게는 매운 고추와 매운맛이 거의 없는 풋고추 계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청양고추는 매운맛이 강해 양념이나 찌개에 주로 사용됩니다.아삭이고추는 오이와 같은 맛으로 생으로 먹거나 익히지 않는 반찬으로 이용합니다.꽈리고추는 매운맛이 약하거나 거의 없어 무침, 찜, 튀김 등 반찬용..
잡곡류 중에서도 콩은 우리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입니다. 주식에 넣어 밥을 짓기도 하고 반찬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두유, 떡 등의 다양한 간식의 재료로도 변신합니다.이렇게 활용도가 높은 이유는 단순히 조리 편의성뿐 아니라 콩이 지닌 풍부한 영양과 고소한 맛 덕분입니다.특히 서리태는 탈모와 연관된 건강식자재로으로 각광받으며현대인의 식단에서 더 많이 사랑받고 있습니다. 목 차1. 콩의 종류2. 영양 성분3. 서리태 영양성분4. 서리태 콩국수 만들기 콩의 종류 색, 크기, 맛,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백태(흰콩)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대두 품종으로 두부, 두유, 콩국수, 된장, 간장 등 가공식품의 주재료가 됩니다.단백질 함량이 높고 맛이 담백합니다. 서리태껍질이 까맣고 속이 연한 ..
선조들부터 즐겨 먹던 굴비는 바로 조기를 말려 만든 음식입니다. 과거에는 서해안에서 대량으로 잡히던 조기가 비교적 저렴하게 우리 식탁에 올랐지만해양 환경 변화와 어획량 감소로 최근에는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담백하고 부드러운 맛 덕분에 여전히 한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생선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특히 반건조 조기는 생물의 신선함과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깊은 풍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어 가정식 반찬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목 차1. 생물학적 특징2. 건강 효능3. 매운 조림 만들기 생물학적 특성 조기(Pseudosciaena manchurica)는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해산 어종입니다.서해와 황해, 남해 일부 해역에서 주로 서식합니다.몸길이는 20 ~ 30cm 정도로..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감칠맛이 살아 있는 반찬을 찾는다면두부조림만큼 딱 들어맞는 선택이 또 있을까요? 부드러운 식감에 매콤하고 깊은 양념이 어우러져밥 한 공기쯤은 금세 비우게 되는 마법 같은 반찬입니다. 특히 오늘 소개할 매운 두부조림은 튀기지 않고 바삭하게 지져낸 후에매콤 달콤한 양념이 스며든 형태로 맛뿐 아니라 건강과 다이어트까지 고려한 레시피입니다. 목 차1. 건강 효능2. 매운 두부조림 만들기 단백질 보충부터 지방 조절까지, 건강 효능 식물성 단백질의 훌륭한 공급원 대두를 원료로 만든 고단백 식품으로 100g당 약 8~10g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기나 생선 못지않은 단백질 함량입니다.특히 지방 함량은 낮고 포화지방이 적어심혈관 건강이 염려하는 사람에게 좋은 식자재입니다.동물성..
반찬 하나만으로도 밥 한 공기를 뚝딱 해치우게 만드는 매력의 식재료 새우젓입니다.짭짤한 감칠맛은 물론 발효된 깊은 풍미까지 더해져 한식 요리에 빠질 수 없는 존재입니다.보통 젓갈은 김치를 만들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지만 음식에도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여름 제철 애호박으로 만드는 시원하고 담백한 호박볶음에 새우젓을 넣어 간을 맞추면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중독성 있는 맛이 완성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새우젓의 종류와 건강 효능을 먼저 살펴보고 호박 새우젓볶음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1. 종류2. 건강 효능3. 호박새우젓 볶음 만들기 어떤 종류가 있을까? 어떤 계절에 어떤 새우로 만들었는지에 따라 풍미와 용도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육젓 6월에 잡힌 새우로 담근 젓갈로 고소하고 풍부한 맛이 특징입니다.알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