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의 대표음식인 무스비를 이름으로만 알다가 실제로 보면일본음식인가 생각할 정도로 동양적입니다.요즘은 많이 익숙해져서 가정에서도 많이 만드는 음식이 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일본과 하와이의 관계에서 나온 이 음식의 유래를 알아보고 간단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무스비란? 단어의 의미 ‘무스비(むすび)’는 일본어로 ‘묶음’, ‘잇다’, ‘연결’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일본어 ‘무스부(結ぶ)’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형입니다.일본의 오무스비, 오니기리에서 유래한 음식이라고 하는데 단순한 주먹밥이 아니라사람과 사람,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음식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 하와이에서는 특별한 형태로 발전한 것은 바로 스팸 무스비입니다.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하와이에 주둔한 미군이 대량으로..
매해 6월이 되면 집집마다 매실로 청과 장아찌를 담는 시기입니다.연둣빛의 푸릇푸릇 매실이 수확되는 시기에 맞추어서 각 집마다 분주해집니다. 매실을 깨끗이 씻고 말려서 유리병에 설탕과 함께 차곡차곡 담거나 장아찌로 만들어6월의 건강함을 1년 내내 즐기는 것입니다.오늘은 매실장아찌 만드는 법과 이를 이용해서 고추장 무침을 만드는 레시피를 알아보겠습니다. 매실이 선사하는 건강의 힘매실(Prunus mume)은 새콤한 맛만큼이나 강력한 건강 효능을 자랑합니다. 구연산과 유기산 주성분인 구연산과 유기산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소화를 돕습니다.이 성분은 피로를 줄이는 작용도 합니다. 특히 구연산은 젖산을 분해해 근육 피로를 해소하는 한편 칼슘 흡수를 도와 뼈 건강을 좋게 하는 것에도 도움을 줍니다. 비타민 B군과..
고대 이탈리아의 평화로운 식탁에는 언제나 파로가 있었습니다. 그 오래된 곡물은 오늘날에도 건강을 지키는 현대인의 밥상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파로는 단순한 고대의 유적이 아니라 영양과 다이어트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슈퍼곡물입니다. 파로의 유서 깊은 역사부터 영양학적 효능과 활용법그리고 현대인의 건강 사례까지 폭넓게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1. 역사와 재배 이야기2. 4가지 영양 가치3. 활용과 실제 사례 파로의 역사와 재배 이야기: 로마 황제의 식탁에서 IGP 인증까지 이탈리아에서 애정받는 고대 밀, 에머(emmer, Triticum dicoccum)로 알려져 있습니다.기원전 수천 년 전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재배된 파로는 고대 로마에서 ‘황제의 밀’이라 불릴 만큼 귀한 곡물이었고 군인들의 주요 열..
언젠가부터 건강한 식생활을 고민할 때 ‘카무트(Kamut)’가 자주 언급됩니다.최근엔 마트에서도 카무트 쌀이나 파스타, 효소 제품 등을 손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카무트가 정확히 무엇인지, 밀과 어떻게 다른지, 모든 사람에게 좋은 건지명확하게 알고 먹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오늘은 고대 곡물로 알려진 카무트의 정확한 정의부터 과학적으로 입증된 효능과 부작용그리고 먹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목 차1. 카무트는 브랜드명인가? 곡물인가?2. 5가지 건강 효능3. 먹는 방법4. 부작용 및 섭취시 주의사항 브랜드인가, 곡물인가? 카무트(Kamut)는 사실 곡물의 이름이 아니라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호라산밀(Khorasan wheat)을 친환경 방식으로 재배한 브랜드명입니..
어릴 적 저녁 준비 시간 부엌 한편에서 멸치 ‘똥’을 따던 기억이 납니다. 엄마는 큰 비닐봉지에서 국물용 멸치를 꺼내 일일이 머리와 내장을 떼고다시마와 함께 육수 냄비에 넣어 끓이셨습니다.그때는 그게 당연한 일상이었고 그저 국을 끓이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 생각했지만지금 생각해 보면 그 정성 속에 따뜻한 밥상이 담겨 있었던 것 같습니다. 요즘은 육수팩이나 코인도 많이 사용하지만 그 시절 엄마 손맛은 여전히 그리운 맛입니다. 오늘은 우리 밥상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생선이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가능한 ‘멸치’에 대한 이야기와 고소하면서도 입맛을 돋우는 반찬 꽈리고추멸치볶음 레시피를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1. 멸치에 대한 정의와 종류2. 멸치의 영양 성분3. 꽈리고추 멸치볶음 만들기 작지만 위대한 바다의 ..